2012. 12. 15. 03:53ㆍ아르티움 1.0/쉬프의 베토벤 소나타 강의
© Guardian Unlimited
Ludwig van Beethoven
Piano Sonata no. 29
opus. 106
Andras Schiff
HammerKlavier
* 1편에 이어
모든 것이 어둡고 절망적이면서 슬픈 이 장엄한 아다지오가 끝나고 난 뒤에서야 베토벤은 부활을 이야기 할 수 있었습니다. 이렇게 F# major 에서 끝냈는데요 ♬
저한테 베토벤의 가장 기가막힌 부분이 이제 나옵니다.푸가를 소개하는 부분이지요. 대위법의 탄생, 또는 성경에 나오는대로 말하자면 창세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이렇게 끝냈었죠 ♬
♬
네. 이게 전체 패시지입니다. 모든 것을 말하지는 않겠지만요. 기본 아이디어인 하강하는 3도는 잘 드러나 있습니다. 베토벤은 여기서 자신이 푸가를 쓰고 싶어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. 푸가의 모델은 누구이지요? 네 당연히 요한 세바스찬 바흐입니다. 베토벤이 피아노 앞에 앉아서 자기 앞에 평균율 악보를 가지고 있는 것을 저는 상상할 수 있습니다. 이 가운데 여러 곡과 그 부분들을 연습해보면서 '아 그래', '아, 이건 아니야', '3도를 더 연주해볼까?' 하면서 바흐의 다른 작품을 또 시도해보는거죠. 또 고르지 않기도 하고요. 이렇게요 ♬
바흐에서 이렇게 연주할 수 있죠 ♬
바흐의 또다른 작품은요 ♬
2권을 보면요 ♬
같은 키에요. g# minor.
그리고는 또다시 놀라운게요. 이 작품의 첫 아르페지오 ♬ 에서 모든 f 를 연주해요. 자신의 피아노 안에서요. 그리고는 모든 a 를 칩니다. f 와 a 는 10도, 또는 확장된 3도의 관계인데요. 그리고는 푸가의 첫 도약이 나옵니다 ♬
네. 이 전체 작품이 10도 도약하는 것으로 시작해요 ♬
여기에도 다시 나오죠 ♬
네. 이제 마지막 획이 나옵니다. 이 놀라운 푸가입니다. "con alcuna licenza" "왠만큼 자유롭게". 꽉막힌 바흐식의 푸가는 아니에요. 조금 자유롭죠. 3성부에요. 뭐가 자유롭다는거죠? 3성부 말고도 다른 성부를 넣을때가 있거든요. 오르가니스트처럼 베이스를 이중으로 한다거나 하는거죠 ♬ 가끔씩 3성부 말고 한참 많을 때도 있어요. 그래도 거의 대부분에 걸쳐서는 3성부를 유지하죠.
아주 어려운 작품입니다. 하지만 절대로 혼란스럽게 느껴져서는 안돼요. 카오스처럼 느껴지면 연주자의 잘못이에요.ㅎㅎ 들으시는 분들은 이 푸가에서 이해하실 부분들이 있어야 합니다. 의무에요. 이 푸가에 대해서 더 생각하고 더 분석할수록 이 안에 들어있는 기가막힌 질서를 느끼실 수 있어요. 물론 굉장히 어렵지만요. 쉬워보이지는 않습니다. 다시 한번 여기서도 템포가 빨라요. 4분음표에 144에요 ♬
아주 빨라요 네. 너무 빠르네요.ㅋㅋㅋㅋㅋㅋ
이게 주제구요. 사실 푸가치고는 아주 긴 푸가에요. 보기를 들자면 이건 훨씬 짧죠 ♬
바흐의 주제들도 거의 다 짧은 편이고요. 이건 아주 길어요.
자. 10도 도약을 하면서 시작하고요. 트릴을 더합니다. 꼬리가 붙었죠 ♬
조금 천천히 쳤는데요. 제가 연습하기에도 좋고 여러분들께서 이해하시기에도 좋지요 ㅋㅋㅋㅋ
다시 3도를 들어보세요 ♬
그러니까 뭐랄까 민주적이지 않아요. 각 음표들이 똑같이 중요하지는 않아요. 어떤 음표들이 다른 음표보다 더 중요하기도 하지요 ♬
리라리라~ ♬
♬
두번째 성부가 입장합니다. 대답을 하는 목소리입니다. 여러분들 대부분께서 아시겠지만 푸가에는 질문과 대답이 있습니다. 대답은 진짜 대답으로 할수도 있고 조성적 대답이 있어요. 바흐의 예를 들면요 이건 진짜 대답입니다 ♬
완전히 똑같은, 5도 위의 대답입니다. 이제는 조성적 대답의 보기를 들어드릴게요 ♬
이건 조성적 대답이에요. 왜냐면 질문은 5도로 시작했는데요. 대답은 4도이거든요 ♬ 이거 대신에요 ♬ 이게 진짜 대답이겠지요.
그러니까, 베토벤은 이렇게 시작했고 ♬ 대답은 이랬어요 ♬ 10도 도약이 아니라 11도에요.
베토벤은 바흐와 그 시대의 모든 발명과 장치들을 가져왔어요. 푸가의 주제, 전위, 증가, 감소, 스트레타와 역행까지. 이 모든 것들이 굉장히 학구적으로 들리실텐데요. 아니요. 사실 각 정거장이 이전 정거장보다 3도 낮은 곳에 있습니다 ♬
증가와 같은 새로운 장치를 소개할 때는요 이전 음에서 3도 떨어진 곳으로 보여줘요. 조금 더 연주해볼까요
♬
벌써 3도를 제거해버렸는데요 ♬
♬
네. 이게 다음 정거장입니다. G# major ♬ 보이시겠지만, 오르가니스트처럼 옥타브를 연주해요. 그래서 '왠만큼 자유로운' 푸가라고 한 것이지요 ♬
이제 새로운, 에피소드 같은 부분이 나오는데요 ♬ 이 부분은 뭔가 변주 또는 10도의 음정을 채우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어요. 하지만 뭔가 스케르찬도 같은 에피소드에요 ♬
네. 여기서 어떤 일어나나요 ♬ 다시 3도가 내려왔어요 ♬ B# major ♬ G# major ♬ E# ♬.
E# major 또는 minor 에서는 증가가 있어요. 주제는 이랬지요 ♬
증가라고 하면, 더 큰 음정값을 가졌다는 뜻이에요 ♬ 원 ♬ 투 쓰리 ♬
슬로우모션이에요 ♬
포르찬디를 넣어주면서 무겁게 만들어버렸습니다 ♬
자 이제는 증가를 뒤집어서, 원래는 이랬지요 ♬ 이제는 이래요 ♬
빰빰 ♬
빰빰 ♬
이것이 다음이었고요. 이 충돌, 교통체증과도 같은 부분이 지나고 나면요 ♬
A# major 의 스케르찬도가 나옵니다 ♬
♬
다음 정거장이 나옵니다. b minor 에요. 처음엔 E# 이었지요 ♬
아주 흥미로워요. 왜냐하면 종이 위에서 분석을 해야만 이해가 되거든요. 역행이라고 하는건데요. 독일어로는 '게'라고 하는데요. 정확하게 말하자면 게는 옆으로 움직이기 때문에..ㅎㅎ 그런데 독일에서는 그렇게 불러요. 왜냐하면 뒤로 가니까요 ♬
트릴을 들어보시면요 ♬
제가 이걸 뒤집어보면요 ♬
신에게 맹세하지만 뭐 둘 다 똑같긴 해요.ㅋㅋㅋ. 차이를 듣기가 힘들지요.ㅎㅎ 이 위에는 아주 아름다운 레가토가 대위적으로 놓여있습니다 ♬
모든 세 부분이 역행을 연주해요 ♬
소프라노 ♬
베이스 ♬
♬
모두 그런걸 들었으니 다음으로 진행되지요 ♬
이제는 역행의 꼬리부분만 보게 됩니다 ♬
뒤집지요 ♬
같이 해서, 꼬리 부분이 정상 모습과 뒤집힌 모습으로 나옵니다 ♬
이게 다시 한번 con alcune licenza 에요. 오케스트라지요 ♬
베이스가 진짜 대답을 가지고 치고 들어옵니다 ♬
조성적 대답이요 죄송합니다. 그리고는 D major 의 주제가 나옵니다 ♬
베토벤이 dolce 라고 푸가에 적습니다 ♬
다음 정거장이 전위입니다 ♬
기억하시나요 ♬
거울같아요 ♬
♬
여기서 알토 ♬
♬
다시한번 베이스가 전위를 연주합니다 ♬
이제 전위와 주제가 동시에 나옵니다 ♬
여기가 광기의 절정입니다.
10도의 도약. 또는 전위. 이것들은 가장 작은 단위들로 쪼개졌어요. 2개의 음과 감소. 올라갔다 내려갔다 동시에 일어나죠 ♬
이건 마치 종말 같아요. 세계의 종말. 그리고는 정적이 흐릅니다. 페르마타는 아니고요.
다음을 보면요. 마치 변신한 것 같아요. 갑자기 "Missa Solemnis" Benedictus, qui venit in nomine Domine 가 나옵니다 ♬
정말이지 이 세계를 벗어난 느낌입니다. 수백년 전에 팔레스트리나 (역주: 조반니 피에를루이지 다 팔레스트리나 Giovanni Pierluigi da Palestrina, 1525?-1594) 나 뭔가 정말 중세의, 순수한 음악을 위해서 베토벤은 우나 코르다를 씁니다. 아주 짧은 부분인데요. 이 D major 에서 토닉인 Bb major 로 어떻게 돌아오는지 기가막혀요. 다시 연주해 볼게요 ♬ 다시 돌아왔습니다.
두번 돌아오지 않을 세상에게 작별인사를 하는 것 같습니다. 이제 그는 우나 코르다를 떼어버립니다. 모든 코드가 연주를 합니다 ♬
2개의 주제를 합칩니다. 베네딕투스 주제와 푸가를요 ♬ 여기서 베이스가 오르간처럼 포르티시모로 나옵니다. 베네딕투스로부터 천둥치며 나옵니다 ♬ 주제의 파편들만 들립니다 ♬
여기서 다시한번 전위와 주제가 같이 나옵니다 ♬ stretto 로요. 스트레타는 '뭔가 타이트한' 의 뜻이에요. 그러니까 두번째 목소리가 첫번째 목소리를 방해해요. 첫번째 목소리가 주제를 끝내기도 전해 들어오지요 ♬
이게 첫 목소리고요 ♬ 이게 두번째에요 ♬ 겨우 4분음표 하나 차이로요. 이걸 듣기가 아주 어려워요 ♬
마지막 단계에 왔음을 느낍니다 ♬ 이 도미넌트 페달 부분들이 있고요 ♬
♬
여기서도 뒤집으면요. 베이스가 전위를 가지고. 소프라노에 진짜 대답이 있습니다 ♬
마지막에 결국 홈 키가 있어요 ♬
♬
이게 마지막입니다. 마치 필름이 끊긴 듯하지요. 빰!
♬
아니면 화산이 폭발하고 난 다음에 아직도 연기가 조금 남아있다고나 할까요 ♬
파편과 부분들만 ♬
하나는 상승하고 다른 하나는 하강합니다 ♬
베이스가 여기서도 ♬
이런 패시지는 ♬
피아노 콘체르토에서나 쓰이지 푸가에는 쓰이지 않을법해요 ♬
베이스가 다시한번 이렇게 낮아요 ♬
♬
느려지면서 poco adagio 에 이릅니다. 원래 템포보다 아주 느려지지요 ♬
6개의 목소리가 있습니다. 엄격한 3성부가 아니에요 ♬
마지막으로 아주 유머스러운 터치가 있어요 ♬
딱 하나 바흐의 e minor 푸가가 있는데요 ♬
유니슨이 있는건 말이지요. 유니슨은 푸가에 원래 자리가 없어요. 개념적으로 모순이거든요. 그래서 저는 함머클라이버가 청동이나 대리석 같은 걸작이라기보다는 인간적인 모습, 우리가 인간일 뿐이라는 모습을 보여준다고 생각해요. 신이 아니고요 ♬
이 도약의 연속 ♬
이 마지막마저도 특이해요. 모두 마디와 부딪쳐요. 2, 3, 4 들이 있어요.
음.. 제가 꽤 길게 얘기했는데요. 이제 한번 쭉 연주만 해볼게요.ㅋㅋㅋㅋㅋ 5분이면 돼요.ㅋㅋㅋ
(박수)
♬
(박수)
© 번역: 아르티움